본문 바로가기

어플, 앱 셀프로 만들기. 셀프 어플개발

강빵e 2025. 5. 12.
반응형

1단계: 아이디어 구체화 및 시장조사

어플 개발의 시작은 ‘무엇을 만들 것인가?’입니다. 막연한 아이디어가 아닌, 실제 사용자에게 도움이 되는지 판단하기 위해 아래 과정을 진행하세요.

어플 목적 명확히 하기: 예) "1인 자영업자를 위한 재고관리 앱", "반려동물 산책 기록 앱"
시장조사: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유사 앱을 검색하고 다운로드 수, 리뷰를 분석
경쟁자 분석: 어떤 기능이 좋고 부족한지를 표로 정리
MVP 기능 선정: 처음에는 핵심 기능만 넣고 시작합니다 (로그인, 글쓰기, 알림 등)
타겟층 정의: 누구를 위한 앱인지 구체화 (20대 여성, 프리랜서, 반려인 등)

2단계: 어플 기획서 및 와이어프레임 작성

실제 개발자 또는 외주업체와 소통할 때 필요한 ‘설계도’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기획이 구체적일수록 개발 비용과 시간이 절약됩니다.

어플 이름, 콘셉트 정리
앱의 전체 흐름도(FLOW): 로그인 > 메인 > 글쓰기 > 상세보기 등
와이어프레임 제작: ‘피그마(Figma)’를 활용하여 화면 구조와 버튼 위치를 시각화
필수 기능 목록 작성: DB 저장, 푸시 알림, 구글 로그인 등
화면별 설명 문서화: 버튼 클릭 시 어떤 기능이 동작하는지 설명 추가

3단계: 개발 방법 선택 (외주 vs 직접 개발)

어플 개발은 직접 할 수도 있고, 외주를 줄 수도 있습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상황에 맞게 선택해야 합니다.

[외주 개발]
✔ 장점: 빠르고 전문가가 개발
✔ 단점: 비용이 많이 듬 (기본 300~1000만원)
✔ 방법: 크몽, 위시켓, 프리모아 같은 플랫폼에서 개발자 섭외

[직접 개발]
✔ 장점: 비용 절감, 수정 가능
✔ 단점: 배워야 함 (시간 소요)
✔ 추천 툴: 노코드(앱기획자, 글라이드, 애드ALO), 로우코드(Flutterflow, Adalo)

4단계: 개발 및 테스트

어플이 완성되면 반드시 테스트를 거쳐야 합니다. 초기 버전에서 오류가 많으면 신뢰도가 떨어지므로, 베타 사용자 피드백이 매우 중요합니다.

개발 진행 상황 공유: 깃허브나 노션 활용
기능별 테스트: 로그인, 게시물 업로드, 알림 등 실제 사용 흐름 검토
디바이스 테스트: 아이폰/안드로이드 동시 점검 (에뮬레이터 또는 실기기)
버그 리포트 수집: 구글폼 등을 통해 지인 또는 테스터 피드백 받기

5단계: 앱스토어/플레이스토어 등록 및 마케팅

앱이 완성되면 유저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스토어에 등록해야 합니다. 이때 필요한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개발자 계정 등록: - 안드로이드: Google Play Console ($25 일회성 비용) - iOS: Apple Developer Program ($99/년)
앱 심사 준비: 스크린샷, 앱설명, 개인정보처리방침
초기 다운로드 유도: SNS, 블로그, 커뮤니티 활용 (네이버 카페, 인스타그램 등)
앱 다운로드 추적: Firebase, Amplitude 활용

6단계: 수익화 및 사업 확장

어플이 어느 정도 사용자 기반을 확보했다면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로 발전시켜야 합니다.

광고 수익: 애드몹(Google AdMob) 연동
프리미엄 기능: 인앱결제 통해 고급 기능 제공
구독 모델: 월간/연간 구독 모델 도입 (예: 노션, 토스, 웨이브 등)
API 판매: 기능을 모듈화하여 다른 업체에 제공
파트너 제휴: 관련 업종과 제휴 마케팅 (반려동물 앱 ↔ 펫푸드 업체 등)

Figma → Flutter → Firebase 제작 구성예시

 

Figma → Flutter → Firebase 제작 구성예시

Figma → Flutter → Firebase를 순서대로 따라 하시면 실제 어플 개발이 가능합니다.✅ 1. Figma 템플릿 구성 예시아래는 병원 예약 앱을 위한 Figma 설계 기본 구조입니다.📱 앱 구조 예시 (Figma에서 그릴

promtp.tistory.com

 

부록: 어플 개발시 자주 묻는 질문 (QnA)

Q1. 비개발자인데도 만들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최근엔 노코드·로우코드 도구가 잘 갖춰져 있어 직접 제작도 가능합니다.

Q2. 외주비용은 어느 정도 드나요?

A. MVP 기준 약 300~500만원, 기능 복잡하면 1000만원 이상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Q3. 내 앱이 카피될까 걱정돼요.

A. 기획서를 이메일로 보내는 순간 ‘저작권’ 증거가 되므로, 일정 보호는 가능합니다. 또한, 차별화된 브랜딩이 중요합니다.

Q4. 플레이스토어 등록은 복잡한가요?

A. 처음엔 복잡해 보여도 구글 개발자 콘솔 안내대로 따라하면 어렵지 않습니다.

Q5. 홍보는 어떻게 시작하나요?

A. 초기에는 블로그,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를 활용해 무료 콘텐츠 마케팅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