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기 열 날 때 대처법 완전 가이드, “놀라지 말고, 단계별로 대응하면 됩니다!”
반응형
📌 연령별 / 체온별 / 행동별 / 시간대별로 나눠서
📌 소아과 전문의 기준 + 응급 시 대응법까지 2025년 기준 최신 소아열 대처 완.벽.가.이.드로 정리!
🌡️ 아기 열 날 때 대처법 완전 가이드
“놀라지 말고, 단계별로 대응하면 됩니다!”
✅ 1. 아기 체온 기준 정리 (2025년 소아청소년과 지침 기준)
측정 부위 정상 체온 미열 발열 기준
항문 | 36.6~38.0℃ | 38.0~38.4℃ | 38.5℃ 이상 |
구강 | 35.5~37.5℃ | 37.6~37.9℃ | 38.0℃ 이상 |
귀/고막 | 35.8~38.0℃ | 38.0~38.4℃ | 38.5℃ 이상 |
겨드랑이 | 35.5~37.0℃ | 37.1~37.4℃ | 37.5℃ 이상 |
📌 가장 정확한 체온은 항문 or 고막 체온계 사용
📌 만 3개월 미만은 38도만 넘어도 병원에 즉시 연락
✅ 2. 연령별 대처법
👶 신생아~3개월 미만
❗ 체온 38℃ 이상 시 무조건 병원 연락 or 응급실
항목 설명
해열제 사용 | 금지 (의사 지시 없이 사용 X) |
수분 공급 | 젖을 자주 물려주세요 |
진료 시점 | 즉시 병원 / 119 or 소아과 연락 |
👶 3개월~12개월 (돌 전후)
체온 대처
38.0~38.4℃ | 미열 → 옷 벗기고 미지근한 수건으로 닦기 |
38.5℃ 이상 | 해열제 사용 가능 (소아용 타이레놀 등) |
39.0℃ 이상 | 해열제 + 30분 지켜보고 변화 없으면 병원 |
📌 고열 + 보챔, 울음 없음, 무기력 → 응급상황 가능성 있음
👧 1세 이상 유아~유치아동
상태 대처
열만 있고 활동 가능 | 해열제 or 미지근한 물찜질 |
열 + 기침/콧물/설사 | 호흡기 or 장염 감염 의심 → 병원 |
40℃ 이상 + 열성경련 이력 | 즉시 병원 / 해열제 + 서늘한 환경 |
💡 해열제 투약 간격: 4시간 이상 (단, 의사 권장 시 다름)
✅ 3. 해열제 사용법
약물 연령 기준 용법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 생후 4개월 이상 | 4~6시간 간격 |
부루펜(이부프로펜) | 생후 6개월 이상 | 식후 / 6~8시간 간격 |
💊 좌약형 | 토할 때, 약 거부 시 | 항문에 삽입 (체온 안 떨어지면 병원) |
📌 복용 후 30~60분 내 체온 1도 정도 하강이 정상
📌 열이 내리지 않더라도 너무 자주 반복 투약 금지
✅ 4. 물리적 방법 대처법 (병행용)
방법 설명
👕 옷 벗기기 | 내복 1장 or 기저귀만 가능 |
💦 미지근한 수건찜질 | 겨드랑이, 이마, 발바닥 중심 |
🧊 얼음찜질은 금지 | 혈관 수축으로 오히려 해로움 |
🌬 실내 온도 | 22~24℃ 유지, 공기순환 중요 |
💧 수분 보충 | 분유/젖 or 생리식염수/보리차 등 수시 공급 |
✅ 5. 아기 열 날 때 절대 하면 안 되는 행동
행동 왜 안 될까?
❌ 찬물로 목욕 | 체온 쇼크 발생 가능 |
❌ 두꺼운 옷 덮기 | 열 배출 방해 |
❌ 무조건 병원 안 가고 참기 | 6개월 이하 or 39도 이상은 진료 필수 |
❌ 해열제 과다 복용 | 간 손상 위험 있음 |
✅ 6. 병원에 가야 하는 상황
증상 즉시 병원 or 응급실 추천
🔥 3개월 미만 + 38도 이상 | |
😰 40℃ 이상 + 처짐/보챔/울지 않음 | |
🥶 오한, 사지 떨림, 창백한 피부 | |
😵 의식 저하, 눈 안 마주침, 무반응 | |
💦 소변 안 나옴 / 입술 푸르름 / 숨 가쁨 | |
🧠 열성경련 이력 + 고열 |
✅ 열이 내려도 경과관찰이 필요한 이유
- 해열제는 증상만 줄일 뿐, 원인을 없애는 게 아님
- 열 내린 후에도 기침/구토/설사/수유 거부 등
기저 질환이 계속되면 병원 진료 필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