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2025년 소득별 국민연금 + 건강보험 합산 표

강빵e 2025. 4. 9.
반응형

직장가입자 기준 / 지역가입자 기준으로 나눠서
실제 월 소득별 예상 보험료 총합
건강보험료 + 장기요양 + 국민연금 포함해서 한눈에 보기 쉽게 표로 정리!


📊 2025년 소득별 국민연금 + 건강보험 합산 표

“내 소득에 따라 매달 내는 4대 보험료, 이만큼이에요!”


✅ 기준 설명 (2025년 기준)

항목 내용

📌 건강보험료율7.12% (2025년)
📌 장기요양보험료율12.81% (건강보험료의 12.81%)
📌 국민연금 보험료율9.0% (직장인: 본인 4.5%, 회사 4.5%)
👥 직장가입자 기준회사와 반반 부담 (여기선 본인 부담만 계산)
🏠 지역가입자 기준소득 외 재산 포함 (여기선 소득만 기준으로 추정)

✅ ① 직장가입자 기준 – 월 소득별 본인 부담 보험료 총합 (건강 + 연금)

월 소득 건강보험료 (7.12%) 장기요양 (12.81%) 국민연금 (4.5%) 총합

200만 원71,200원9,121원90,000원170,321원
250만 원89,000원11,399원112,500원212,899원
300만 원106,800원13,670원135,000원255,470원
350만 원124,600원15,949원157,500원298,049원
400만 원142,400원18,228원180,000원340,628원
500만 원178,000원22,786원225,000원425,786원
600만 원213,600원27,342원270,000원510,942원

✅ ② 지역가입자 기준 – 월 소득 기준 예상 보험료 총합

재산/차량 미포함, 순수 소득만 기준
월 소득 건강보험료 (7.12%) 장기요양 (12.81%) 국민연금 (9.0%) 총합

100만 원71,200원9,121원90,000원170,321원
150만 원106,800원13,670원135,000원255,470원
200만 원142,400원18,228원180,000원340,628원
250만 원178,000원22,786원225,000원425,786원
300만 원213,600원27,342원270,000원510,942원
350만 원249,200원31,900원315,000원596,100원
400만 원284,800원36,457원360,000원681,257원

💡 지역가입자는 실제로 재산, 자동차 보유 여부에 따라 상향될 수 있음
👉 위 표는 "순수 소득만" 기준한 예상치


✅ 보험료 계산 공식 다시 정리

📌 건강보험료 = 소득 × 7.12%  
📌 장기요양 = 건강보험료 × 12.81%  
📌 국민연금 = 소득 × 9.0% (직장은 본인 4.5%만 부담)

✅ 보험료 절약 팁 요약

항목 설명

🔍 지역가입자라면 피부양자 등록 우선 확인 
📉 연금 임의가입자는 최소 기준으로 설계 가능 
🚫 고가 차량, 부동산 등록 시 보험료 폭등 주의 
🧾 프리랜서는 신고소득 = 보험료 기준 → 전략적 신고 필요 
🧮 건보료 모의 계산기 이용 추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