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후도우미 본인부담금 자동 계산 가이드🏙️ 지역별 산후도우미 본인부담금 구체 예시 (2025년 기준)

강빵e 2025. 3. 27.
반응형

😊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기준표)**와
산후도우미 서비스 본인부담금 자동 계산 가이드
아주 보기 쉽게, 정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기준: 보건복지부 2025년 중위소득 발표 자료 기준)


📊 2025년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표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100% 120% 150%

1인 2,271,000원 2,725,200원 3,406,500원
2인 3,790,000원 4,548,000원 5,685,000원
3인 4,883,000원 5,859,600원 7,324,500원
4인 5,957,000원 7,148,400원 8,935,500원
5인 6,917,000원 8,300,400원 10,375,500원
6인 7,862,000원 9,434,400원 11,793,000원

📌 본인의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소득판정 (지역·직장 상이)
📌 산모 본인 + 배우자 + 자녀 포함 = 가구원 수로 계산


🧮 산후도우미 본인부담금 자동 계산 가이드

👉 아래 단계를 따라 본인에게 해당하는 지원유형예상 본인부담금을 확인해보세요!


✅ [STEP 1] 가구 중위소득 구간 확인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or 정부24에서 소득 조회
  • → 위 표의 가구원 수별 기준과 비교해 자신이 몇 % 구간인지 확인

유형 중위소득 기준 본인부담금 (기본형 10일 기준)

1유형 중위소득 50% 이하 약 0~8만 원
2유형 중위소득 50~60% 약 9~12만 원
3유형 중위소득 60~70% 약 12~15만 원
4유형 중위소득 70~80% 약 15~18만 원
5유형 중위소득 80~90% 약 18~20만 원
6유형 중위소득 90~100% 약 20~22만 원
7유형 중위소득 초과 약 25~35만 원 (소득 관계없이 정액제)

💡 다자녀, 장애인 가구 등은 유형 상향 조정 가능


✅ [STEP 2] 서비스 기간 선택

구분 기본형 (첫째 출산) 추가형 (둘째 이상, 쌍생아)

일수 10일 (5일×2회차) 15일 또는 20일 가능
도우미 1일 8시간 기본 시간 조절형(4시간)도 선택 가능
추가 이용 시 본인부담 100%로 연장 가능 가능 (제공기관 상담 필요)

✅ [STEP 3] 실제 본인부담금 계산 예시

예시 1)

3인 가구, 월 소득 480만 원 → 중위소득 약 98% 수준 = 6유형

  • 제공 기간: 10일
  • 총 정부지원금: 약 115만 원
  • 본인부담금: 약 21만 원
  • 카드 결제 or 계좌이체 가능

예시 2)

4인 가구, 소득 약 750만 원 → 중위소득 초과 = 7유형

  • 제공 기간: 10일
  • 본인부담금: 정액 약 30~35만 원 (제공기관별 차이 있음)

📎 산후도우미 이용 시 기타 참고사항

항목 내용

신청 시기 출산 예정일 기준 40일 전~출산 후 30일 이내 신청 권장
제공기관 선택 지역별 보건소 또는 정부24에서 확인 가능
사용 방식 방문형 서비스 (산모 집으로 파견), 오전 or 오후 조정 가능
도우미 배정 여성, 교육 이수자만 배정 (간단한 가사+신생아 케어 포함)

📌 간단 본인부담금 계산기 (참고용)

1. 가구원 수 입력
2. 월 소득 입력
→ 예상 유형 및 본인부담금 자동 계산!

➡️ 복지로 중위소득 기준표 바로가기
➡️ 정부24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신청 바로가기

 


🏙️ 지역별 산후도우미 본인부담금 구체 예시 (2025년 기준)

📌 기준:

  • 기본 서비스 일수: 10일 (첫째 아이 기준)
  • 1일 8시간 방문형 서비스 기준
  • 정부 지원 + 지자체 추가지원 포함
  • 가구 소득: 중위소득 100-110% 구간 (평균 가구 소득 약 500-550만 원)
  • 실제 금액은 제공기관/서비스 종류에 따라 조금 달라질 수 있어요!

🏢 1. 서울특별시

자치구 본인부담금 지자체 추가 혜택

강남구 약 12만 원 5일 추가지원 (총 15일 제공)
강서구 약 20만 원 일부 주민 대상 감면 제도 운영
성북구 약 22만 원 특별지원 없음
송파구 약 15만 원 다자녀 가구 추가 5일 제공

🏙️ 2. 경기도

도시 본인부담금 비고

수원시 10만 원 본인부담금 50% 지자체 지원
성남시 약 17만 원 산후조리원 이용자 일부 환급 가능
고양시 20만 원 전후 제공기관 다양, 수요 많음
남양주시 19만 원 서비스 수요 증가로 조기 마감 주의

🌊 3. 인천광역시

구 본인부담금 비고

연수구 약 18만 원 일부 기간 추가지원 (선착순)
부평구 약 22만 원 도우미 매칭 빠름, 경쟁률 낮음
미추홀구 약 23만 원 민간 서비스 연계 많음

🌊 4. 부산광역시

구 본인부담금 비고

해운대구 약 19만 원 일부 지자체 프로그램 연계
수영구 약 23만 원 기본형만 제공, 연장 어려움
사하구 약 25만 원 도우미 인력 부족 주의

🌲 5. 대전광역시

구 본인부담금 비고

유성구 약 17만 원 도우미 만족도 높음
서구 약 20만 원 연장 시 민간 이용 전환 가능

🌿 6. 광주광역시

구 본인부담금 비고

북구 약 18만 원 제공기관 만족도 높음
동구 약 21만 원 도우미 수급 양호, 예약 빠름

🍊 7. 제주특별자치도

지역 본인부담금 특이사항

전역 약 8~10만 원 수준 전국 최상위 수준 지원
15일 기본 + 5일 추가 무료 제공 (총 20일 지원 가능)    

📍 참고: 기타 중소도시

도시 본인부담금 비고

청주시 약 20만 원 청년 산모 추가 혜택 가능
전주시 약 19만 원 산후조리원 연계 서비스 있음
창원시 약 16만 원 셋째 이상 출산 시 50% 감면

💡 본인부담금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요소 설명

💰 소득 수준 중위소득 50~100% 이하일수록 부담금 낮아짐
👶 출산 순서 첫째 < 둘째 < 셋째 순으로 지원 일수 증가
🏠 거주 지역 서울/수도권은 추가지원 다양, 농촌지역은 도우미 수급 부족 가능
👨‍👩‍👧‍👦 가족 형태 다자녀, 장애인, 한부모가정은 감면 대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