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말기 3대 사건 총정리 |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농민운동
반응형
📌 조선 말기 3대 사건 총정리 |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농민운동
조선의 근대화는 내부 갈등 + 외세 압력이라는 복합적인 요인 속에서 진행되었습니다.
그 중심에는 조선 말기 3대 사건이라 불리는 **임오군란(1882), 갑신정변(1884), 동학농민운동(1894)**이 있죠.
오늘은 이 세 사건을 개념, 배경, 전개, 결과, 의의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1. 임오군란 (壬午軍亂, 1882)
✔️ 개요
- 발생: 1882년 (고종 19년)
- 주체: 구식 군인 + 민중
- 배경: 급료 체불, 신식 군대(별기군)와의 차별, 개화 정책에 대한 반발
✔️ 전개
- 구식 군인들의 봉기 → 민중 봉기로 확산
- 민씨 정권과 일본 공사관 습격
- 청나라 개입 → 흥선대원군 재집권 → 청에 의해 납치
✔️ 결과
- 청나라의 내정 간섭 시작
- 제물포 조약 체결 (일본 군대 주둔 허용)
- 개화정책 일시 후퇴
✔️ 의의
조선 내부 모순이 외세 개입을 불러온 첫 군사 반란
🗡️ 2. 갑신정변 (甲申政變, 1884)
✔️ 개요
- 발생: 1884년 (고종 21년)
- 주체: 급진 개화파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 등)
- 목표: 입헌군주제 도입, 신분제 철폐, 근대화 개혁
✔️ 전개
- 청군이 톈진 조약 이후 철수한 틈을 타 정변 시도
- 정변 3일 만에 청군 재개입 → 실패
- 개화파 인물들 일본으로 망명
✔️ 결과
- 개화파의 몰락
- 조선 내 청나라 영향력 강화
- 일본과의 외교 갈등 심화
✔️ 의의
조선 최초의 근대 개혁 정치 실험, 비록 실패했지만 훗날 독립운동 사상에 영향
🌾 3. 동학농민운동 (東學農民運動, 1894)
✔️ 개요
- 발생: 1894년 (고종 31년)
- 주체: 농민 + 동학 신도 (전봉준 등)
- 배경: 탐관오리의 수탈, 과도한 세금, 일본-청 외세 개입에 대한 반감
✔️ 전개
- 1차 봉기: 전라도 고부 → 전국 확산 → 정부 개혁 요구 (전주화약 체결)
- 2차 봉기: 청-일 군대 조선 개입 → 일본 경복궁 점령 → 청일전쟁 → 농민군 재봉기 → 진압
✔️ 결과
- 동학군 궤멸, 전봉준 처형
- 조선은 일본 주도 아래 갑오개혁 단행
- 청일전쟁(1894) 발발 → 조선은 일본 영향권으로 이동
✔️ 의의
근대 민중운동의 시작, 반외세 + 반봉건 투쟁의 대표 사례
📊 조선 말기 3대 사건 비교표
사건명 연도 주체 원인 외세 개입 결과
임오군란 | 1882 | 구식 군인 + 민중 | 개화정책 반발, 군대 차별 | 청나라, 일본 | 청 내정 간섭, 일본 군대 주둔 |
갑신정변 | 1884 | 급진 개화파 | 근대 개혁 추진 | 청나라, 일본 | 실패, 청 영향력 강화 |
동학농민운동 | 1894 | 농민 + 동학도 | 탐관오리 수탈, 반외세 | 청, 일본 (청일전쟁) | 진압 → 갑오개혁 → |
🧠 결론: 세 사건은 연결되어 있다
- 임오군란 → 청나라 간섭 시작 + 일본의 불만 축적
- 갑신정변 → 일본의 조선 영향력 강화 시도 → 실패
- 동학농민운동 → 청-일 본격 충돌 → 청일전쟁, 조선은 일본 영향권 편입
즉, 이 세 사건은 단절된 사건이 아니라
서로 이어지는 "근대화 vs 외세 vs 민중"의 역사적 서사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