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2025 신축 아파트별 옵션비용 비교표 (유상/무상 포함여부 정리)

프로이나라 2025. 4. 7.
반응형

2025년 기준 대표적인 건설사 신축 아파트 기준으로,
자주 등장하는 유상옵션/무상옵션 항목별로
비용대(평균), 포함여부, 건설사 특징까지 비교.

💡 실거주자 후기 + 청약 정보 + 입주자모집공고 기준으로 제작한 현실형 비교표


📊 2025 신축 아파트별 옵션비용 비교표 (유상/무상 포함여부 정리)


“어디는 포함인데, 여긴 유상이야?” 헷갈릴 때 이 표 하나로 정리 끝!


✅ 표 보는 법 안내

항목 설명

✔ 포함여부 무상 포함(O) / 유상 옵션(△) / 미제공(X)
💸 평균 비용 84㎡ 기준 / 지역·공정에 따라 ±20~30% 차이
💡 건설사 특징 실제 후기로 정리한 옵션 포지션 전략 요약

🏢 주요 건설사별 옵션비용 비교표 (84㎡ 기준)

옵션 항목 래미안 (삼성) e편한세상 (DL이앤씨) 힐스테이트 (현대) 자이 (GS) 포레나 (한화)

시스템 에어컨 △ 약 280~330만 △ 약 250만 △ 약 270~320만 △ 약 260만 △ 약 250만
현관 중문 (3연동) △ 약 120~150만 △ 약 100~140만 △ 약 110~130만 △ 약 100만 △ 약 90~130만
안방 붙박이장 O O O O O
작은방 붙박이장 △ 약 80~100만 △ 약 70만 △ 약 60~90만 △ 약 60만 △ 약 60만
주방 키큰장 △ 약 100~150만 △ 약 90만 △ 약 100만 △ 약 90만 △ 약 80만
김치냉장고장 △ 약 100만 △ 약 90~110만 △ 약 100만 △ 약 90만 △ 약 80만
욕실 슬라이딩장 O △ 약 60만 O O O
샤워부스 업그레이드 △ 약 80만 △ 약 70만 △ 약 70~90만 △ 약 70만 △ 약 60만
스마트월패드/IoT O O or △ (모듈별 선택) △ 약 80~100만 O △ 약 70만
무광 도어/컬러몰딩 △ 약 50만 O △ 약 30~50만 △ 약 40만 X
주방 상판 업그레이드 △ 약 100만 △ 약 90~110만 △ 약 90만 △ 약 80만 △ 약 70만
현관바닥 고급타일 △ 약 50만 △ 약 40만 △ 약 40만 △ 약 30만 X
시스템 옷장 X △ 약 120만 △ 약 100만 △ 약 110만 X

✅ 건설사별 옵션 특징 요약

건설사 특징 요약

래미안 고급 마감재 + 디자인 퀄리티 최상 / 대부분 유상옵션 비쌈
e편한세상 실속형 구성 / 가성비 중문·붙박이장 만족도 높음
힐스테이트 중간선호도 / 디자인감 좋아서 감성 옵션 인기
자이 무상항목 많고 시공 퀄리티 우수 / 실속형 패키지 多
포레나 유상은 저렴한 편 / 무상 비율 낮음 / 기본 마감 무난

✅ 실속 선택 포인트

붙박이장 O인지 꼭 확인 (없으면 후회 많음)
중문, 에어컨은 나중에 시공하면 비용 ×2
IoT는 원패드 중심 + 방범 기능 위주만 선택해도 충분
무광 마감, 도어 색상은 트렌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재판매 고려


✅ 옵션비용 줄이는 팁

팁 설명

📦 패키지보다 단품 선택 예: 시스템 에어컨 패키지보다 “거실+안방만” 선택
📱 입주자 커뮤니티 활용 실제 시공비 비교 + 공동구매 루트 많음
💸 총 유상옵션 500만 원 이상? → 사제 시공 견적 꼭 받아보기!  

✅ 

#아파트옵션비용 #아파트옵션비교 #신축아파트유상옵션 #2025입주옵션  
#시스템에어컨비용 #현관중문가격 #붙박이장포함아파트 #건설사옵션차이  
#래미안자이힐스비교 #아파트옵션선택팁 #티스토리부동산정보

 

반응형

댓글